오케가와 스토커 살인 사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케가와 스토커 살인 사건은 1999년 일본에서 발생한 사건으로, 21세의 여대생 이노 시오리가 전 남자친구 고마츠 가즈히토와 그의 공범들에게 스토킹과 협박을 당하다 살해당했다. 이 사건은 경찰의 부실한 초기 대응, 언론의 선정적인 보도, 스토킹 범죄에 대한 법적 미비점을 드러냈다. 사건 이후 일본에서는 스토커 규제법이 제정되었지만, 법의 한계와 경찰의 미흡한 대응으로 인해 유사한 사건이 반복되기도 했다. 이 사건은 대한민국 사회에도 스토킹 범죄의 심각성, 피해자 보호의 중요성, 법 제도의 개선 필요성, 그리고 사회적 인식 개선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케가와시의 역사 - 가와타야촌
1868년에 통합된 가와타야촌은 사이타마현에 존재했던 촌으로, 1955년 오케가와정에 편입되어 현재는 오케가와시의 일부가 되었으며, 아라카와 등의 하천이 흐르는 농업 지역이었다. - 오케가와시의 역사 - 오이시촌 (사이타마현)
오이시촌은 1889년 사이타마현에 성립되어 하천이 많은 지리적 특징을 가진 촌이었으나, 1955년 아게오정에 편입되면서 소멸되었고 현재는 아게오시의 일부가 되었다. - 일본의 여성에 대한 폭력 - 이토 시오리
일본의 저널리스트이자 영화감독인 이토 시오리는 2015년 성폭력 피해 고발을 통해 일본 사회 내 성폭력 문제 공론화를 이끌었으며, 저서 출간 및 영화 제작 등 관련 활동으로 2020년 타임지 선정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100인"에 선정되었다. - 일본의 여성에 대한 폭력 - 이소가이 리에
이소가이 리에 살인 사건은 2007년 일본 나고야시에서 발생한 납치 및 살인 사건으로, 31세 회사원 이소가이가 4명의 남성에게 납치되어 살해된 후 기후현 야산에 유기되었으며, 주범 칸다 쓰카사에게 사형이 확정되었다. - 국가배상청구소송 - 인민혁명당 사건
인민혁명당 사건은 1964년과 1975년에 발생한 두 차례의 사건으로, 박정희 정권 하에서 정치적 탄압의 상징으로 여겨지며, 2000년대 조사 결과 조작 가능성이 제기되었고 관련자들이 무죄 판결을 받았으나, 사건에 대한 해석은 여전히 대립하며 민주주의와 인권에 대한 논쟁을 촉발했다. - 국가배상청구소송 - 우키시마 호 침몰 사건
우키시마 호 침몰 사건은 1945년 8월 24일 일본 해군 소속 우키시마 호가 아오모리현 오미나토 항을 출발하여 부산으로 향하던 중 교토부 마이즈루항 근해에서 침몰한 사건으로, 강제징용된 조선인 노동자 7,000여 명이 희생되었으며, 침몰 원인에 대한 일본 정부의 기뢰 폭발 주장과 대한민국 측의 고의 폭침 의혹 속에 진상 규명과 사과 및 배상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오케가와 스토커 살인 사건 | |
---|---|
사건 개요 | |
이름 | 시오리 이노 살인 사건 |
날짜 | 1999년 10월 26일 |
유형 | 살인, 청부 살인, 자살-살인 |
위치 | 오케가와시, 사이타마현, 일본 |
사망자 | 2명 (범인 1명 포함) |
피해자 | 이노 시오리 (21세) |
가해자 | 요시후미 구보타 (청부 살인업자) 가즈히토 고마쓰 다케시 고마쓰 아키라 가와카미 요시타카 이토 |
동기 | 연애 거절에 대한 복수 |
사법 처리 | |
유죄 판결 | 구보타, 가와카미, 이토, 다케시: 살인 가타기리, 후루타, 혼다: 문서 위조 |
형량 | 다케시: 종신형 구보타: 징역 18년 가와카미, 이토: 징역 15년 가타기리, 후루타: 징역 년 집행 유예 혼다: 징역 년 집행 유예 |
소송 | 사이타마현 경찰, 무능함으로 인해 이노의 가족에게 손해 배상 명령 |
피해자 정보 | |
![]() | |
관련 사건 | |
관련 사건 | 오케가와 스토커 살인 사건 |
가해자 정보 | |
가즈히토 고마쓰 | 체포 영장이 발부된 것을 알고 자살 |
추가 정보 | |
추가 정보 | FOCUS (신초샤) 기자 시미즈 기요시와 더 스쿠프 캐스터 도리고에 슌타로 등이 독자적으로 범인을 추적하고 사이타마현 경찰의 문제를 각각 보도에서 추구했다. |
추가 정보 | 본 사건의 발생을 계기로 스토커 대책 정비가 급속히 진행되어 2000년에 스토커 규제법이 성립 및 시행되었다. |
사건 위치 | |
위치 | 오케가와역 서쪽 출구 |
2. 사건의 경위
1999년 10월 26일, 오케가와역 앞에서 여대생 A씨(당시 21세)가 전 남자친구 고마쓰 가즈토(당시 27세)와 그의 형 고마쓰 다케시(당시 32세), 형제의 사주를 받은 3명에게 살해당했다.[1]
피해자와 가족들은 살해되기 4개월 전부터 가해자에게 스토킹 피해를 당했다. 피해 사실을 사이타마현 경찰서에 여러 번 신고하고 가해자를 고소했지만, 경찰은 제대로 받아주지 않고 고소를 없던 것으로 하려고 했다. 사이타마현 경찰과 아게오서는 이 사건을 무책임하게 대하고 조사했던 것으로 밝혀졌다.[1]
이노는 대학교 오후 수업에 참석하기 위해 자전거를 타고 오케가와역으로 갔다. 이토는 근처 차에서 이를 지켜보다가 가와카미에게 알렸고, 가와카미는 역으로 차를 몰고 가서 구보타를 내려주었다. 이노가 자전거에서 내리자 구보타가 접근하여 그녀의 옆구리를 한 번 찔렀다. 이노가 돌아서자 구보타는 그녀의 심장을 다시 찔렀다. 이노는 오후 12시 50분에 아게오 중앙 종합 병원에서 사망했으며, 사망 원인은 대량 출혈로 인한 쇼크였다.[1]
년 | 월일 | 사건 |
---|---|---|
1999년 | 1월 | 피해자와 A가 교제를 시작하다. |
3월 30일 | 피해자가 A에게 이별을 통보했지만 교제 지속을 강요받다. 이후 A로부터의 속박・협박 행위가 심해지다. | |
6월 14일 | 피해자가 A에게 결별을 통고. 같은 날 밤, A, B 외 1명이 피해자 집에 들이닥쳐 소동이 일어나다. | |
6월 15일 | 피해자가 아게오 경찰서에 상담했지만 상대받지 못하다. | |
7월 13일 | 피해자 집 주변 등에 중상 비방 전단이 뿌려지다. 같은 날, 어머니가 아게오 경찰서에 보고하다. | |
7월 29일 | 피해자가 A를 명예훼손 혐의로 고소하는 서류를 아게오 경찰서에 제출하다. | |
8월 22일 | 피해자 아버지 직장에 중상 비방 문서가 보내지다. 23일에는 같은 회사 본사에도 송부되다. | |
9월 7일 | 아게오 경찰서원이 피해자의 고소장을 피해 신고로 위조하다. | |
9월 21일 | 아게오 경찰서원이 피해자 어머니에게 고소 취하를 요청하다. | |
10월 16일 | 심야, 피해자 집 주변에 큰 소리로 음악을 트는 차 2대가 나타나다. | |
10월 26일 | 오케가와역 서쪽 출구에서 피해자가 흉기에 찔려 살해되다. | |
12월 19일 | 살해 실행범 C를 살인 혐의로 체포하다. | |
12월 20일 | 살해 주모자 B, 수송 역할 D, 망보기 역할 E를 각각 살인 혐의로 체포하다. | |
2000년 | 1월 16일 | 명예훼손 혐의로 살해범 그룹을 포함한 12명을 체포. A를 동 혐의로 지명 수배하다. |
1월 27일 | A가 홋카이도 굿샤로 호에서 익사체로 발견되어 자살로 단정되다. | |
3월 4일 | 『더·스쿠프』가 본 사건의 특집 제1탄을 방송하다. | |
3월 7일 | 참의원 예산위원회에서 본 사건에 대한 첫 질문이 이루어지다. | |
3월 10일 | 사이타마현 경찰이 조사팀을 설치하다. | |
4월 6일 | 사이타마현 경찰이 조사 보고서를 발표하다. 고소장을 위조한 아게오 경찰서원 3명이 징계 면직되다. 사이타마현 경찰 본부장이 피해자 집을 방문하여 유족에게 사과하다. | |
5월 18일 | 스토커 규제법이 성립되다. | |
9월 7일 | 징계 면직된 전 아게오 경찰서원 3명에게 집행유예가 붙은 유죄 판결이 내려지다. | |
11월 24일 | 스토커 규제법 시행. | |
12월 22일 | 유족이 사이타마현(사이타마현 경찰)을 상대로 1.1억엔의 국가 배상 청구 소송을 제기하다. | |
2001년 | 7월 17일 | C에게 징역 18년, E에게 징역 15년의 실형 판결이 내려지다. C는 항소. |
2002년 | 3월 29일 | C가 항소를 취하하여 징역 18년이 확정되다. |
6월 27일 | D에게 징역 15년의 실형 판결이 내려지다. | |
12월 25일 | B에게 무기징역 판결이 내려지다. B는 항소. | |
2003년 | 2월 26일 | 국가 배상 청구 소송·지방법원 판결. 경찰의 직무 태만을 인정하여 유족에게 550만엔 배상을 명령했지만, 직무 태만과 피해자 살해의 인과 관계는 인정하지 않다. 유족·경찰 쌍방이 항소. |
2005년 | 1월 27일 | 국가 배상 청구 소송·고등법원 판결. 지방 법원 판결을 지지하고, 쌍방의 항소를 기각하다. |
12월 20일 | B의 고등법원 판결. 지방 법원 판결을 지지하고 B의 항소를 기각하다. B는 즉시 상고. | |
2006년 | 8월 30일 | 국가 배상 청구 소송·최고 법원 판결. 지방 법원 판결을 지지하고 쌍방의 상고를 기각하다. 사건과 관련된 경찰의 대응에 대한 판단이 확정되다. |
9월 6일 | B의 최고 법원 판결. 지방 법원 판결을 지지하고 B의 상고를 기각하다. B의 무기징역이 확정되다. |
2. 1. 피해자와 가해자의 만남
1999년 1월, 21세의 대학생 이노 시오리는 오미야 역 근처 오락실에서 고마츠 카즈히토를 만났다.[7] 고마츠는 26세로, 동생과 함께 사창가를 운영하고 있었지만, 이노에게는 마사지 업소라고 거짓말을 했다.[32] 그는 자신이 자동차, 부동산, 귀금속을 취급하는 23세의 사업가라고 속였다.[8]4~5번의 데이트 후, 고마츠는 이노에게 루이비통 핸드백이나 구찌 정장과 같은 비싼 선물을 주었고, 거절하면 욕설을 퍼부었다. 고마츠는 이노에게 휴대폰 번호만 알려줬음에도 그녀의 집에 전화를 걸기 시작했다. 이 무렵, 이노는 고마츠의 차 안에서 그의 본명이 적힌 신용카드를 발견했다.[8]
이노가 관계를 끊으려고 하자, 고마츠는 그녀를 협박하여 계속 만나는 것에 동의하게 했다. 3월 24일, 이노는 친구에게 자신의 생명이 위험하다고 털어놓았다.[7] 3월 30일, 이노는 유언장을 쓰고 다시 한번 고마츠와의 관계를 끊으려 했지만, 초등학생인 남동생을 해칠 수도 있다는 암시를 포함하여 가족을 협박하자 포기했다.[7]
2. 2. 교제의 시작과 문제점
1999년 1월, 21세의 대학생 이노 시오리는 26세의 고마츠 카즈히토와 사귀기 시작했다. 고마츠는 여러 사창가를 운영하고 있었으나, 이노에게는 마사지 업소라고 거짓말을 했다.[32] 둘은 오미야 역 근처 오락실에서 만났는데, 고마츠는 자동차, 부동산, 귀금속을 취급하는 23세 사업가라고 자신을 소개했다.[8]4~5번의 데이트 후, 고마츠는 이노에게 루이비통 핸드백이나 구찌 정장 같은 비싼 선물을 공개적으로 건넸다. 이노가 거절하면 욕설을 퍼부었고, 휴대폰 번호만 알려줬음에도 불구하고 이노의 집에 전화를 걸기 시작했다. 이 무렵, 이노는 고마츠의 차 안에서 그의 본명이 적힌 신용카드를 발견했다.[8]
이노는 고마츠와의 관계를 끊으려 했지만, 고마츠는 그녀를 협박하여 계속 만남을 강요했다. 3월 24일, 이노는 친구에게 자신의 생명이 위험하다고 털어놓았다. 3월 30일, 이노는 유언장을 쓰고 다시 한번 고마츠와의 관계를 끊으려 했으나, 고마츠는 초등학생인 이노의 남동생을 해칠 수도 있다는 암시를 포함하여 그녀의 가족을 협박했다.[7]
6월 14일, 이노는 카페에서 고마츠를 만나 다시는 만나지 않겠다는 의사를 분명히 밝혔다. 같은 날, 고마츠와 그의 일행은 이노의 집에 찾아가 이노와 그녀의 어머니를 위협했다. 그들은 퇴근한 이노의 아버지를 위협했고, 아버지는 흔들리지 않고 고마츠가 이노에게 강요한 선물을 가져가라고 말한 후 그들에게 집에서 나가라고 명령했다. 셋은 물러나면서 선물을 돌려받고 싶지 않다고 말했다. 이 모든 상황은 이노에 의해 녹음되었다.[7]
2. 3. 심화되는 스토킹 행위
1999년 1월, 21세 대학생 이노 시오리는 26세 고마츠 가즈히토와 사귀기 시작했다. 고마츠는 오미야 역 근처 오락실에서 만났으며, 자신을 자동차, 부동산, 귀금속을 취급하는 23세 사업가라고 소개했다.[7] 하지만 실제로는 암흑가에서 패션 헬스 형태의 유흥업소를 운영하는 인물이었다.[32]고마츠는 이노에게 루이비통 핸드백이나 구찌 정장 같은 비싼 선물을 주며 환심을 사려 했고, 거절하면 욕설을 퍼부었다. 또한 이노에게 휴대폰 번호만 알려줬음에도 그녀의 집에 전화를 걸기 시작했다.[8] 3월 20일경, 이노가 고마츠의 맨션에 설치된 비디오 카메라를 발견하고 따지자, 고마츠는 격분하여 "나에게 거역하는 건가. 그럼 지금까지 선물한 옷값으로 100만 엔을 내라. 못 내면 소프(성매매 업소)에 가서 돈을 벌어와라."라고 협박했다.[9]
이노는 고마츠의 본명이 적힌 신용카드를 발견하고 관계를 끊으려 했지만, 고마츠는 가족에게 해를 가할 것을 암시하며 협박했다.[7] 3월 30일, 이노는 유언장을 쓰고 다시 관계를 끊으려 했지만, 초등학생 남동생을 언급하며 가족을 협박하자 포기했다.
6월 14일, 이노는 카페에서 고마츠를 만나 결별을 통보했다. 같은 날, 고마츠와 그의 동생, 친구는 이노의 집에 찾아가 이노와 그녀의 부모를 위협했다.[7] 이노는 이 상황을 몰래 녹음해 다음 날 경찰에 제출했지만, 경찰은 미온적인 태도를 보였다.[7]
이후 이노의 가족은 "타나카"라는 사람으로부터 매일 20통의 무음 전화를 받았고, 이는 10월 26일까지 계속되었다. 6월 16일, 이노의 가족은 다시 경찰을 찾았지만, 경찰은 오히려 이노에게 잘못이 있다고 말했다.
6월 21일, 이노는 고마츠에게 받은 선물을 모두 택배로 보냈다. 다음 날, 고마츠의 지시를 받은 그의 동생은 쿠보타 요시후미에게 20억엔에 이노의 청부 살인을 의뢰했다.[12]
7월 5일, 고마츠는 알리바이를 만들기 위해 오키나와현 나하로 떠났다. 이후 4개월 동안, 이노의 가족은 이노와 아버지에 대한 비방이 담긴 수백 개의 포스터와 편지가 동네와 아버지 직장에 배포되는 등 심각한 괴롭힘을 당했다. 가족은 증거를 가지고 여러 번 경찰에 도움을 요청했지만, 경찰은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7]
결국 10월 26일, 이노는 오케가와역 앞에서 고마츠가 사주한 범인에게 칼에 찔려 살해당했다.[14][18]
2. 4. 살해
1999년 10월 26일, 오케가와 오케가와역 앞에서 여대생 A씨(당시 21세)가 전 남자친구 고마쓰 가즈토(당시 27세)와 그의 형 고마쓰 다케시(당시 32세), 그리고 형제의 사주를 받은 일당 3명에게 살해당했다.이노는 오케가와역으로 자전거를 타고 와서 대학교 오후 수업에 참석하려 했다. 이토는 근처 차에서 이를 지켜보다가 가와카미에게 알렸고, 가와카미는 역으로 차를 몰고 가서 구보타를 내려주었다. 이노가 자전거에서 내리자 구보타가 접근하여 그녀의 옆구리를 한 번 찔렀다. 이노가 돌아서자 구보타는 그녀의 심장을 다시 찔렀다. 이노는 오후 12시 50분에 아게오 중앙 종합 병원에서 사망했으며, 사망 원인은 대량 출혈로 인한 쇼크였다.[1]
사건 직후, 사이타마현 경찰은 피해자를 값비싼 브랜드 상품을 좋아하는 문란한 여성으로 묘사하는 허위 정보 캠페인을 시작했다.[1]
3. 경찰의 부실 대응과 은폐 의혹
피해자와 가족들은 1999년 6월부터 고마츠 카즈히토와 그 일당에게 스토킹 피해를 당하며 여러 차례 사이타마현 경찰에 도움을 요청했다. 그러나 경찰은 사건을 안일하게 처리했을 뿐만 아니라, 피해자의 고소를 무마하고 은폐하려 한 정황까지 드러났다.
1999년 6월 14일, 고마츠 일당은 이노의 집에 찾아와 협박했고, 이노는 이를 녹음해 다음날 경찰에 제출했다. 그러나 경찰은 이노에게 혐의가 없다고 말했다. 6월 16일, 이노의 가족은 다시 경찰을 찾았지만, 경찰은 오히려 이노에게 잘못이 있다고 말했다.
7월에는 이노와 가족들에 대한 비방 전단이 배포되었고, 가족들은 증거를 가지고 경찰을 찾았지만, 경찰은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 심지어 경찰은 고위 간부의 지시로 명예훼손 고소를 방해하고, 고소장을 조작하고, 피해자에게 고소 취하를 종용하는 등 은폐를 시도했다.[46]
결국 사이타마현 경찰은 내부 조사를 통해 이러한 사실을 인정하고 공식적으로 사과했다. 관련 경찰관들은 징계 처분을 받았고, 유족들은 경찰을 상대로 손해 배상 청구 소송을 제기했다.[46] 법원은 경찰의 직무 유기를 인정했지만, 살인과의 인과 관계는 인정하지 않았다.
이 사건을 계기로 일본에서는 스토킹 범죄에 대한 사회적 경각심이 높아졌고, 2000년 11월에는 동아시아 최초로 스토커 규제법이 제정되었다.[4]
3. 1. 반복되는 피해 신고와 무시
1999년 6월 15일, 이노 시오리는 아게오 경찰서에 고마츠와의 관계에 대한 문제로 상담했지만, 경찰은 제대로 상대해주지 않았다. 같은 해 7월 13일, 이노의 집 주변에 중상모략 전단이 뿌려지자, 이노의 어머니는 다시 아게오 경찰서에 피해 사실을 신고했다. 7월 29일, 이노는 고마츠를 명예훼손 혐의로 고소하는 서류를 경찰에 제출했다.8월 22일과 23일에는 이노의 아버지 직장과 본사에 중상모략 문서가 발송되었다. 9월 7일, 아게오 경찰서의 경찰관은 이노의 고소장을 피해 신고로 위조했다. 9월 21일에는 이노의 어머니에게 고소 취하를 요청했다.
이처럼 이노와 가족들은 반복적으로 피해를 신고하고 증거를 제출했음에도 불구하고, 경찰은 소극적인 태도로 일관하며 제대로 된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
3. 2. 고소 방해 및 고소장 조작
1999년 6월 15일, 피해자 이노 시오리는 사이타마현 아게오 경찰서에 스토킹 피해를 상담했지만, 경찰은 적극적으로 대응하지 않았다.[36] 이노와 가족들은 반복해서 피해 사실을 알리고 도움을 요청했지만, 경찰은 오히려 이노에게 잘못이 있는 것처럼 몰아가거나, 명예훼손 혐의 고소를 방해했다.[46]7월 29일, 이노는 명예훼손 혐의로 고소장을 제출했지만, 경찰은 이를 제대로 처리하지 않았다. 심지어 9월 7일에는 아게오 경찰서원이 고소장을 "신고"로 조작하고, 허위 보고서를 작성하는 등 위법 행위를 저질렀다.[46] 9월 21일에는 피해자의 어머니에게 고소 취하를 종용하기까지 했다.[46]
사이타마현 경찰은 내부 조사를 통해 이러한 사실을 대체로 인정하고, "고소"를 "신고" 등으로 변조한 것은 허위 공문서 작성 등의 죄에 해당한다고 밝혔다.[46] 경찰은 "수사 활동에 관하여"라는 항목에서, 아게오 경찰서원이 피해자로부터 조서를 받아 작성한 고소장에 대해 "고소"라는 부분을 "신고" 등으로 변조한 점, 증거품 처리에 대해 허위 보고서를 작성한 점 등을 처음으로 보고하였으며, "이것들은 허위 공문서 작성 등의 죄에 해당한다"라고 인정했다.[46]
4월 6일, 사이타마현 경찰 본부장은 기자 회견을 통해 "살해는 피할 수 있었다"며 국민에게 사죄하고, 유족에게도 직접 사과했다.[46] 조서 변조에 관련된 경찰관 3명은 징계 면직 처분되었고, 현 경찰 본부장 등 12명에게도 감봉, 견책 등의 처분이 내려졌다.[46]
다음은 사건 발생부터 경찰의 대응, 그리고 관련자 처벌까지의 과정을 정리한 표이다.
년도 | 일자 | 사건 |
---|---|---|
1999년 | 6월 15일 | 피해자가 아게오 경찰서에 상담했지만 상대받지 못함. |
7월 13일 | 피해자 집 주변 등에 중상 비방 전단이 뿌려짐. 같은 날, 어머니가 아게오 경찰서에 보고함. | |
7월 29일 | 피해자가 A를 명예훼손 혐의로 고소하는 서류를 아게오 경찰서에 제출함. | |
8월 22일 | 피해자의 아버지 직장에 중상 비방 문서가 보내짐. 23일에는 같은 회사 본사에도 송부됨. | |
9월 7일 | 아게오 경찰서원이 피해자의 고소장을 피해 신고로 위조함. | |
9월 21일 | 아게오 경찰서원이 피해자의 어머니에게 고소 취하를 요청함. | |
10월 26일 | JR 오케가와역 서쪽 출구에서 피해자가 흉기에 찔려 살해됨. | |
2000년 | 3월 10일 | 사이타마현 경찰이 조사팀을 설치함. |
4월 6일 | 사이타마현 경찰이 조사 보고서를 발표함. 고소장을 위조한 아게오 경찰서원 3명이 징계 면직됨. 사이타마현 경찰 본부장이 피해자 집을 방문하여 유족에게 사과함. | |
9월 7일 | 징계 면직된 전 아게오 경찰서원 3명에게 집행 유예가 붙은 유죄 판결이 내려짐. | |
2003년 | 2월 26일 | 국가 배상 청구 소송·지방법원 판결. 경찰의 직무 태만을 인정하여 유족에게 550만원의 배상을 명령했지만, 직무 태만과 피해자 살해의 인과 관계는 인정하지 않음. |
2006년 | 8월 30일 | 국가 배상 청구 소송·최고 법원 판결. 지방 법원 판결을 지지하고 쌍방의 상고를 기각함. 사건과 관련된 경찰의 대응에 대한 판단이 확정됨. |
3. 3. 언론 보도와 경찰의 대응 변화
1999년 10월 26일, 오케가와역에서 여대생 이노 시오리가 살해된 직후, 사이타마현 경찰은 피해자를 폄하하는 허위 정보 캠페인을 벌였다.[1] 타블로이드 신문과 주류 언론들은 이노가 호스티스로 일했다는 자극적인 이야기를 보도했다. 그러나 사진 주간지 『FOCUS』의 기자 시미즈 키요시는 끈질긴 취재를 통해 이노가 스토킹 피해자였으며, 경찰이 사건을 제대로 처리하지 않았음을 밝혀냈다.[32]『FOCUS』는 이노의 친구들의 증언을 토대로 스토커의 존재와 피해 사실을 폭로했고, 독자적인 조사로 살인범의 실체를 파악했다.[16] 특히, 1999년 12월 21일 발매된 『FOCUS』 신년호는 경찰보다 먼저 체포된 실행범의 전모를 다룬 특종 기사였다.[34] 『FOCUS』는 또한 피해자 부모와의 접촉에 성공하여, 고소 취하를 요구한 사람이 아게오서 소속 경찰관임을 밝혀냈다.[36]
『FOCUS』의 보도는 TV 아사히의 보도 프로그램 『더・스쿠프』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캐스터 토리고에 슌타로는 『FOCUS』 기사를 통해 경찰 조직의 문제를 인식하고, 피해자 아버지와의 면담을 통해 사건을 특집으로 다루었다.[38] 『더・스쿠프』는 경찰에 질문서를 보내고 답변을 검증하는 등 적극적인 취재를 통해 경찰의 부실 대응을 폭로했다.[41]
결국 사이타마현 경찰은 내부 조사를 통해 피해자 가족의 주장을 대체로 인정하고, "살해는 피할 수 있었다"며 공식 사과했다.[46] 조서 변조에 관련된 경찰관 3명은 징계 면직되었고, 현 경찰 본부장 등 12명이 징계 처분을 받았다.[48]
시미즈 키요시의 『유언 - 오케가와 스토커 살인 사건의 심층』은 JCJ 대상을,[76] 토리고에 슌타로의 『더・스쿠프』는 일본 기자 클럽상을 수상하며 언론의 역할을 높이 평가받았다.[49]
사건 이후 연도별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년 | 월일 | 사건 |
---|---|---|
1999년 | 10월 26일 | 오케가와역에서 이노 시오리 피살. |
12월 19일 | 살해 실행범 체포. | |
12월 20일 | 살해 주모자 등 체포. | |
2000년 | 1월 16일 | 명예훼손 혐의로 살해범 그룹 등 체포, 주범 지명 수배. |
1월 27일 | 주범, 홋카이도에서 자살. | |
3월 4일 | 『더・스쿠프』에서 사건 특집 방송. | |
4월 6일 | 사이타마현 경찰, 조사 결과 발표 및 공식 사과. 관련 경찰관 징계. | |
5월 18일 | 스토커 규제법 성립. | |
9월 7일 | 징계 면직된 전 경찰관 3명, 집행 유예 판결. | |
11월 24일 | 스토커 규제법 시행. | |
2001년 | 7월 17일 | 실행범 C에게 징역 18년, 공범 E에게 징역 15년 선고. |
2002년 | 3월 29일 | C, 항소 취하로 징역 18년 확정. |
6월 27일 | 공범 D에게 징역 15년 선고. | |
12월 25일 | 주모자 B에게 무기 징역 선고. | |
2003년 | 2월 26일 | 경찰 상대 국가 배상 청구 소송 1심 판결. 경찰 과실 인정, 550만 엔 배상 명령. |
2005년 | 1월 27일 | 국가 배상 청구 소송 2심, 1심 판결 유지. |
12월 20일 | B의 2심, 무기 징역 유지. | |
2006년 | 8월 30일 | 국가 배상 청구 소송 최종심, 1심 판결 확정. |
9월 6일 | B, 무기 징역 확정. |
4. 언론의 문제점과 역할
오케가와 스토커 살인 사건에서 언론은 초기에는 선정적인 보도로 피해자에게 2차 가해를 가하는 문제점을 드러냈지만, 일부 언론은 진실을 밝히기 위해 노력하며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사건 초기, 타블로이드 신문들은 이노 시오리가 호스티스로 일했다는 등의 자극적인 이야기를 조작했다.[1] 주류 언론들까지 이에 가세하여 이노를 값비싼 브랜드 상품을 좋아하는 문란한 여성으로 묘사하는 허위 정보 캠페인을 벌였다.[1]
그러나 기자 시미즈 키요시는 잡지 ''FOCUS''에 이노가 고마츠와 겪었던 오랜 고난을 폭로하고 그녀의 스토커 사진을 포함한 보고서를 게재하며 사건의 진실을 알리고자 노력했다.[1]
TV 아사히의 보도 프로그램 『더・스쿠프』 또한 이 사건을 심층 취재하여 경찰 수사를 검증하고, 유족 인터뷰를 통해 사건의 진실을 밝히는 데 기여했다. 캐스터 토리코시 슌타로는 경찰의 부실 수사를 강하게 비판하며, 이 사건을 통해 남녀 간 사건이라는 선입견의 위험성과 민사가 아닌 형사 사건이었다는 점을 강조했다.[44] 『더・스쿠프』는 이후 국회에서 민주당 의원 다케무라 야스코가 경찰청장에게 사건에 대한 질문을 던지게 했고, 경찰의 부실 대응과 고소 취하 요청 의혹에 대한 질타가 이어지도록 하는 등, 언론이 경찰 수사에 압력을 행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45]
4. 1. 선정적 보도와 피해자 2차 가해
사건 발생 후, 범인에 대한 정보가 부족했기 때문에 언론은 피해자의 사생활에 주목했다.[24] 주간지들은 피해자에 대해 "명품에 미쳤었다", "유흥업소에서 일했다"는 등의 부정확한 정보를 잇달아 보도했다.[24]경찰은 첫 보도에서 피해자 소지품으로 "구찌 시계", "프라다 백팩"을 언급했는데, 이는 이례적인 일이었다. 일각에서는 경찰이 부실 수사에 대한 비판을 피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방탕한 여성"이라는 인상을 주려 했다는 의혹을 제기했다.[25] 『FOCUS』 기자 시미즈 키요시는 브랜드명이 "놀기 좋아하는, 화려한 여자애를 나타내기 위한 기호"로 이용되었다고 지적했다.[29]
그러나 친구들은 피해자가 "싼 물건을 잘 활용하는" 패션 감각을 가졌으며, 명품을 선호하지 않았다고 증언했다.[27] 소지한 명품도 소품에 불과했다.[28] 시미즈 키요시는 경찰이 언급한 구찌 시계에 대해 "낡고 작은 흠집이 많은, 20대 여성이 흔히 차는, 소중하게 오래 사용된 시계"라고 묘사했다.[29]
피해자의 "유흥업소 근무"는 스낵에서 2주간 아르바이트를 한 것이 와전된 것이었다.[24] 피해자는 "술 마시는 사람 상대는 못 한다"며 월급도 받지 않고 그만두었다.[24] 당시 친구는 보도 피해를 보고 죄책감을 느꼈다고 밝혔다.[27]
TV 와이드 쇼는 근거 없는 억측과 빗나간 의견을 내보냈고, 이후 수정되지도 않았다.[24] 저널리스트 사노 신이치는 "경찰 정보를 그대로 내보내고, 살해된 피해자에게도 문제가 없었는지 의문을 제기하는 논조의 프로그램을 매일같이 방송했다"고 비판했다.[30]
『더 스쿠프』는 특집 방송에서 보도 피해를 검증하고, 피해자 지인들의 증언을 통해 실상을 알리며 명예 회복을 시도했다. 토리코시 슌타로는 "가족에게 ''(피해자)''는 두 번 살해된 것이다. 범인에 의해 살해되었고, 미디어에 의해 명예가 훼손되었다"고 말했다.[31]
4. 2. 'FOCUS'와 '더 스쿠프'의 추적 보도
시미즈 키요시 기자는 잡지 ''FOCUS''에 이노 시오리가 고마츠 가즈히토와 겪었던 오랜 고난을 폭로하고 스토커 사진을 공개하는 등 직접 사건을 조사했다.[1]2000년 1월 12일 발매된 『FOCUS』 제3호에는 "오케가와 여대생 피살 '주범'을 잡지 못하는 사이타마현 경찰의 '무기력 수사' 사건 전 대응부터 문제"라는 기사가 게재되었다.[37] 이 기사에는 피해자가 피해 사실을 신고했을 때 경찰의 미흡한 대응과 피해자에게 고소 취하를 요청했다는 사실이 적혀 있었다.[38] 그 다음 주 『FOCUS』에는 용의자 지명 수배가 늦은 점과 그 혐의가 살인이 아닌 "명예훼손"이라는 점을 비판하는 내용이 실렸다.[37]
『FOCUS』의 기사에 TV 아사히의 보도 프로그램 『더・스쿠프』의 캐스터 토리고에 슌타로가 강하게 반응했다. 토리고에는 이전부터 경찰의 불상사가 연이어 보도되는 상황에서, 이 사건의 배후에 경찰 조직의 문제가 있다고 확신했다.[38]
토리고에는 피해자 아버지에게 텔레비전에서 사건을 특집으로 다뤄 경찰 수사를 검증하고 싶다는 편지를 보냈고, 변호사를 통해 아버지와의 면담을 요청했다.[39] 2000년 2월 22일, 면담이 성사되었고,[40] 2월 28일에는 사이타마현 경찰에 10개 조항으로 구성된 질문서를 보냈다.[41]
사이타마현 경찰은 "고소 취하 요청은 없었다"고 답변했지만,[42] 유족은 "사실과 다르다"고 반박했다. 이에 취재진은 현 경찰에 재차 질문서를 보냈고, 방송 당일 현 경찰 형사부장은 "오해를 불러일으키는 발언이 있었다"고 해명했다.[43]
2000년 3월 4일 방송에서 『더・스쿠프』는 유족 인터뷰, 경찰에 보낸 질문서와 답변 내용을 검증했다. 토리고에는 "피해자가 수사 중에 살해되었다면 중대한 실수이고, 수사를 게을리하여 살해되었다면 이것 또한 중대한 실수이다"라고 비판하며 경찰청에 내부 조사를 건의했다.[44] 또한, 이 사건을 통해 남녀 간 사건이라는 선입견이 얼마나 위험한지, 그리고 민사가 아닌 형사 사건이었다는 점을 강조하며 향후 취재 지속을 선언했다.[44]
4. 3. 언론의 역할과 책임
오케가와 스토커 살인 사건에서 언론은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특히 주간지 『FOCUS』와 TV 아사히의 『더・스쿠프』는 이 사건을 적극적으로 보도하며 경찰의 부실한 수사와 대응을 비판했다.[37]『FOCUS』는 2000년 1월 12일, "오케가와 여대생 피살 '주범'을 잡지 못하는 사이타마현 경찰의 '무기력 수사' 사건 전 대응부터 문제"라는 제목의 기사를 통해 경찰이 피해자의 신고에 적절히 대응하지 않았고, 심지어 고소 취하를 요청했다는 사실을 폭로했다.[38]
『더・스쿠프』의 캐스터 토리고에 슌타로는 『FOCUS』 기사에 주목하여 이 사건을 심층 취재했다. 그는 경찰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피해자 가족의 인터뷰를 통해 사건의 진실을 알리고자 노력했다.[38] 2000년 3월 4일 방송에서는 경찰에 대한 질문서와 답변 내용을 검증하고, "피해자가 수사 중에 살해되었다면 중대한 실수이고, 수사를 게을리하여 살해되었다면 이것 또한 중대한 실수이다. 어떻게 되어도 아게오 경찰서의 책임은 면할 수 없다"고 비판했다.[44]
이러한 언론 보도는 국회에서도 논란을 일으켰다. 민주당 의원 다케무라 야스코는 참의원 예산위원회에서 경찰청장에게 사건에 대한 질문을 던졌고, 경찰의 부실 대응과 고소 취하 요청 의혹에 대한 질타가 이어졌다.[45]
언론의 지속적인 관심과 비판은 경찰이 사건 대응을 재검토하고, 수사 과정의 문제점을 인정하는 계기가 되었다.
5. 재판 과정
1999년 10월 26일 발생한 오케가와 스토커 살인 사건에 대한 재판은 크게 형사 재판, 민사 소송, 그리고 국가를 상대로 한 손해배상 청구 소송으로 나뉜다.
형사 재판에서는 살해 실행범, 주모자 등 관련자들이 기소되어 유죄 판결을 받았다. 자세한 내용은 #형사 재판 문단을 참조하면 된다.
민사 소송에서는 피해자 유족이 범인 그룹에게 손해배상을 청구하여 일부 승소 판결을 받았다. 자세한 내용은 #민사 소송 문단을 참조하면 된다.
2000년 12월 22일, 유족은 사이타마현(사이타마현 경찰)을 상대로 국가배상청구소송을 제기했다. 사이타마현 경찰은 사건 초기 유족에게 사과했지만, 재판 과정에서 책임을 회피하고 피해자와 유족을 공격하는 태도를 보였다.[3]
재판의 주요 쟁점은 "피해자로부터 피해 신고 또는 고소가 있었을 때 아게오 경찰서가 수사를 진행할 상황이었는가", "아게오 경찰서의 수사 태만과 피해자의 살해 사이에 인과 관계를 인정할 수 있는가"였다. 유족 측은 경찰의 미온적인 대처가 범인들을 더욱 대담하게 만들었고, 피해자에게 생명의 위협이 있음을 예측할 수 있었다고 주장했다. 반면 현 경찰은 피해자에게 그러한 위험이 있을 것이라는 인식이 없었고, 이 사건을 우선적으로 수사할 의무도 없었으며, 수사를 했더라도 사건이 발생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하며 책임을 부인했다.
2003년 2월 26일, 지방법원은 경찰의 직무 태만을 인정하여 유족에게 550만엔을 배상하라고 판결했지만, 직무 태만과 피해자 살해의 인과 관계는 인정하지 않았다.[3] 유족과 경찰 양측은 항소했다. 2005년 1월 27일 고등법원은 지방 법원 판결을 지지하고 양측의 항소를 기각했다. 2006년 8월 30일, 최고재판소는 원심 판결을 유지하며 양측의 상고를 모두 기각했다.[3]
사건 이후 사이타마현 경찰 본부장의 부적절한 발언이 문제가 되기도 했다. 그는 경찰서 협의회 대표자 회의에서 "(사죄 당시의 보고서는) 경찰청에서, 이런 보고서로는 여론이 유지되지 않는다, 잘못된 점을 쓰라고 말해서 불확실한 것까지 써버렸다", "원고 측도 별로 돈을 받지 못하면 말이죠, 제대로 많은 배상금을 받을 수 있다고 생각하고 소송을 했는데, 이래서는 이야기가 다르다. 역시 고등법원에 항소합시다, 가 되는 것이 아니겠는가" 등의 발언을 하여 훈계 처분을 받고 피해자 부모에게 문서로 사과했다.
사건 이후 정리된 조사 보고서에 대해 현 경찰은 "현 경찰에 대한 비판 속에서 정리되었다", "있어야 할 경찰의 이상상을 기준으로 하고, 현실적인 평가가 되지 못했다"며 증거 가치를 부인했다.
년도 | 월일 | 사건 |
---|---|---|
1999년 | 12월 19일 | 살해 실행범 C 체포 |
'' | 12월 20일 | 살해 주모자 B, 수송 역할 D, 망보기 역할 E 체포 |
2000년 | 1월 16일 | 명예훼손 혐의로 살해범 그룹 포함 12명 체포, A 지명 수배 |
'' | 1월 27일 | A, 홋카이도 굿샤로 호에서 익사체로 발견, 자살로 단정 |
'' | 12월 22일 | 유족, 사이타마현(사이타마현 경찰) 상대로 1.1억엔 국가 배상 청구 소송 제기 |
2001년 | 7월 17일 | C 징역 18년, E 징역 15년 실형 |
2002년 | 3월 29일 | C, 항소 취하, 징역 18년 확정 |
'' | 6월 27일 | D, 징역 15년 실형 |
'' | 12월 25일 | B, 무기 징역 |
2003년 | 2월 26일 | 국가 배상 청구 소송 지방법원 판결, 경찰 직무 태만 인정, 550만엔 배상 명령, 인과 관계 불인정, 양측 항소 |
2005년 | 1월 27일 | 국가 배상 청구 소송 고등법원 판결, 지방 법원 판결 지지, 양측 항소 기각 |
'' | 12월 20일 | B 고등법원 판결, 지방 법원 판결 지지, B 항소 기각, B 즉시 상고 |
2006년 | 8월 30일 | 국가 배상 청구 소송 최고재판소 판결, 지방 법원 판결 지지, 양측 상고 기각, 경찰 대응 판단 확정 |
'' | 9월 6일 | B 최고재판소 판결, 지방 법원 판결 지지, B 상고 기각, B 무기 징역 확정 |
5. 1. 형사 재판
1999년 12월 19일, 살해 실행범인 쿠보타가 체포되었고, 다음 날에는 공범인 타케시, 카와카미, 이토도 체포되었다.[1] 2000년 1월 16일에는 이노를 괴롭히는 것을 도운 8명이 추가로 체포되었다. 체포를 피해 홋카이도로 도주했던 고마츠는 2000년 1월 27일 테시카가정의 호수에서 시신으로 발견되었으며, 자살로 밝혀졌다.[1]살인죄로 기소된 주범 B, 살해 실행범 C, 운전 담당 D, 망보기 역할 E 중에서, B는 일관되게 사건 연루를 부인했고, D는 살인이 아닌 상해치사라고 주장했다.[50] 2001년 7월부터 2002년 3월에 걸쳐 C에게는 징역 18년, D와 E에게는 각각 징역 15년의 판결이 내려졌다.[19] 그러나 C는 판결 후 진술을 번복하여 D와 마찬가지로 상해치사라고 주장하며 항소했다.[50] C는 와이드 쇼에서 테리 이토의 발언을 듣고 상해의 범위에서 폭주하여 결과적으로 죽였다고 주장하는 것이 낫다고 생각했다고 진술 번복 이유를 밝혔다.[50] 그러나 2003년 3월 29일, C는 갑자기 항소를 취하하고 지방 법원 판결을 확정했다.[50]
사건 연루를 부인했던 B는 분리 공판이 진행되었고, 2002년 12월 25일 사이타마 지법은 B가 C에게 직접 살해 지시를 내린 주범이라고 인정하고 무기 징역을 선고했다.[52] B는 항소하여 1심에서 부인했던 피해자에 대한 위해 행위 공모를 인정한 뒤 살의를 부인하고 상해치사 적용을 요구했지만, 2005년 12월 20일 도쿄 고법은 지법 판결을 지지하며 항소를 기각했다.[53] B는 즉시 상고했지만, 2006년 9월 5일 최고재판소는 상고를 기각하여 무기 징역이 확정되었다.[54]
최종 판결은 다음과 같다:
피고인 | 역할 | 판결 |
---|---|---|
쿠보타(C) | 살해 실행범 | 징역 18년 (확정) |
카와카미(D) | 운전 담당 | 징역 15년 (확정) |
이토(E) | 망보기 역할 | 징역 15년 (확정) |
타케시(B) | 주범 | 무기 징역 (확정) |
5. 2. 민사 소송
2000년 10월 26일, 피해자 유족은 범행 그룹 17명을 상대로 1.1억엔의 손해 배상을 요구하며 제소했다.[19] 2001년 10월 26일, 5명에게 총 490.00000000000006만엔, 11월 16일에는 C, E에게 총 9900만엔 지급을 명령하는 판결이 내려졌다.[55] 2006년 3월 31일, B와 그의 부모 및 공범 1명 등 총 4명에게 1.0659999999999998억엔 지급을 명령하는 판결이 내려졌다.[14] 판결에서는 자살한 A와 사건의 관련성에 대해 "교제를 거절당하고 앙심을 품어 피해자의 살해를 계획했을 충분한 동기가 있었다", "B가 A의 지시 없이 살의를 품는 것은 상상하기 어렵다", "A는 B와의 사건 전 휴대 전화 통화 상황으로 볼 때 살해를 논의했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지적하며, "살해에 A의 지시가 있었다고 보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A를 살인 사건의 주모자로 인정했다.[56][57][58]피고들은 배상금 지급 능력이 거의 없어, 유족은 현실적인 수령을 포기했지만, "민사 재판에서 주장이 인정되었다"는 보도만 알고 있는 이웃 주민들로부터 "저 집은 딸을 팔아먹고 있다"는 비난을 받았다. 피해자 어머니는 "국가 배상 청구 재판에서 이기면 세금 도둑이라고 불리는 걸까"라며 심경을 밝혔다.[55]
5. 3. 국가배상 청구 소송
2000년 12월 22일, 이노 시오리의 유족은 사이타마현 경찰을 상대로 국가배상청구소송을 제기했다. 사이타마현 경찰은 사건 초기 유족에게 사과했지만, 재판 과정에서 책임을 회피하고 피해자와 유족을 공격하는 태도를 보였다.[3]재판의 주요 쟁점은 두 가지였다. 첫째, 피해자가 피해 신고나 고소를 했을 때 아게오 경찰서가 수사를 진행할 상황이었는지, 둘째, 아게오 경찰서의 수사 태만과 피해자의 살해 사이에 인과관계가 인정되는지였다. 유족 측은 경찰의 미온적인 대처가 범인들을 더욱 대담하게 만들었고, 피해자에게 생명의 위협이 있음을 예측할 수 있었다고 주장했다. 반면, 사이타마현 경찰은 피해자에게 그러한 위험이 있을 것이라는 인식이 없었고, 이 사건을 우선적으로 수사할 의무도 없었으며, 수사를 했더라도 사건이 발생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하며 책임을 부인했다.
2003년 2월 26일, 지방법원은 경찰의 직무 태만을 인정하여 유족에게 5500000JPY을 배상하라고 판결했지만, 경찰의 직무 유기가 이노 시오리의 살해를 야기했다고 보지는 않았다.[3] 유족과 경찰 양측은 판결에 불복하여 항소했다. 2006년 8월 30일, 최고재판소는 원심 판결을 유지하며 양측의 상고를 모두 기각했다.[3]
6. 스토커 규제법 제정과 사회적 영향
이 사건은 일본 사회에 큰 충격을 주었고, 스토킹 범죄에 대한 인식 변화와 법 제정의 계기가 되었다. 특히 경찰의 안일한 대응과 '민사불개입' 원칙의 문제점이 드러나면서, 피해자 보호를 위한 법적, 제도적 개선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사건 발생 후, 일본 사회는 스토킹 범죄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피해자 보호를 위한 강력한 대책을 요구했다. 언론은 시미즈 키요시와 같은 기자들의 적극적인 보도를 통해 사건의 진실을 알리고, 경찰의 부실 대응을 비판했다.[1]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 속에서, 스토커 규제법 제정이 추진되었다.
2000년 5월 18일, 일본 국회는 '스토커 행위 등의 규제에 관한 법률'(스토커 규제법)을 성립시켰고, 같은 해 11월 24일부터 시행되었다.[19] 이는 동아시아 국가 중 최초의 스토커 규제법 제정이었다. 이 법은 스토킹 행위를 정의하고, 가해자에 대한 경고, 접근 금지 명령, 피해자 보호 조치 등을 규정하여 스토킹 범죄 예방과 피해자 보호에 기여하고자 했다.
그러나 법 제정 이후에도 스토킹 범죄는 계속 발생했다. 2012년 즈시 스토커 살인 사건에서는 법의 미비점(전자 메일을 이용한 스토킹 규제 부재)이 드러났고,[66] 2011년 나가사키 스토커 살인 사건에서는 경찰의 소극적인 대응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67] 이러한 사건들은 스토커 규제법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지속적인 개선과 보완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한편, 오케가와 스토커 살인 사건 피해자 유족은 사이타마현 경찰을 상대로 국가배상청구소송을 제기했다. 2003년 2월 26일, 사이타마 지방 법원은 경찰의 직무 태만을 인정하고 유족에게 550만엔의 배상금 지급을 명령했지만, 직무 태만과 피해자 살해 간의 인과 관계는 인정하지 않았다.[60] 유족과 경찰 모두 항소했지만, 2006년 8월 30일 최고 재판소는 양측의 상고를 모두 기각하여 지방 법원의 판결이 확정되었다.[63]
이 사건은 경찰의 '민사불개입' 원칙에 대한 사회적 논의를 촉발시켰다. 2000년, 국가 경찰 쇄신 회의는 이 원칙에 얽매이지 않도록 제언했지만, 이후 경찰의 지나친 민사 개입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기도 했다.[70]
6. 1. 스토커 규제법 제정의 배경
1999년 10월 26일, 오케가와시에서 여대생이 전 남자친구와 그 일당에게 살해당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피해자와 가족은 사건 발생 4개월 전부터 지속적인 스토킹 피해를 겪었고, 사이타마현 경찰서에 여러 차례 신고하고 가해자를 고소했음에도 불구하고, 경찰은 사건을 제대로 처리하지 않고 오히려 고소를 무마하려 했다. 이러한 경찰의 무책임한 대응은 일본 사회에 큰 충격을 주었으며, '민사불개입' 원칙을 이유로 사건을 막지 못한 경찰과 법의 문제점을 개선해야 한다는 여론이 형성되었다.[1]이 사건을 계기로, 피해자 신변 보호를 위한 '''스토커 규제법'''이 동아시아 국가 최초로 일본에서 제정되었다. 2000년 5월 18일 국회에서 "스토커 행위 등의 규제에 관한 법률"이 성립, 11월 24일에 시행되었다.[19]
하지만 법 제정 이후에도 스토킹 살인 사건은 계속 발생했다. 2012년 가나가와현 즈시시에서 발생한 즈시 스토커 살인 사건에서는 범인이 피해자에게 1000통 이상의 협박 이메일을 보냈지만, 당시 스토커 규제법에는 이메일 연락을 금지하는 규정이 없어 경찰이 사건을 입건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했다. 이는 2000년 법 제정 당시에는 전자 메일이 보편화되지 않았기 때문이었다.[66] 또한, 2011년 나가사키 스토커 살인 사건에서는 경찰이 규제법을 적용하지 않고 소극적으로 대응하여 결국 피해자 가족 2명이 살해되는 비극이 발생했다.[67]
다음은 사건 이후 주요 경과를 정리한 표이다.
년 | 월일 | 사건 |
---|---|---|
2000년 | 5월 18일 | 스토커 행위 등의 규제에 관한 법률(스토커 규제법) 성립. |
11월 24일 | 스토커 규제법 시행. | |
2012년 | 11월 | 즈시 스토커 살인 사건 발생. 전자 메일을 이용한 스토킹에 대한 법적 미비점이 드러남. |
2011년 | 12월 | 나가사키 스토커 살인 사건 발생. 경찰의 소극적 대응이 문제점으로 지적됨. |
이 사건은 경찰의 '민사불개입' 원칙에 대한 비판을 불러일으켰고, 2000년 국가 경찰 쇄신 회의는 이 원칙에 얽매이지 않도록 제언을 발표했다. 그러나 월간지 『ZAITEN』 2009년 4월호는 경찰의 지나친 민사 개입이 나타나고 있다고 지적했다.[70]
6. 2. 스토커 규제법의 주요 내용
이 사건을 계기로 스토킹 범죄에 대한 사회적 경각심이 높아졌고, '스토킹 행위 규제 등에 관한 법률'(약칭 '스토커 규제법')이 제정되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19] 스토커 규제법은 2000년 5월 18일 국회에서 성립되었고, 같은 해 11월 24일에 시행되었다.[19]스토커 규제법은 스토킹 행위를 반복하는 사람을 처벌하고, 피해자를 보호하기 위한 조치를 담고 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내용 | 설명 |
---|---|
스토킹 행위 정의 | 특정인에 대한 끈질긴 감시, 따라다니기, 주거지 주변 배회, 폭언, 협박, 명예훼손 등을 스토킹 행위로 규정한다. |
경찰의 경고 및 접근 금지 명령 | 경찰은 스토킹 행위자에게 경고하고, 재발 우려가 있을 경우 접근 금지 명령을 내릴 수 있다. |
피해자 보호 조치 | 피해자 요청 시 경찰은 신변 보호, 임시 보호 시설 제공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다. |
처벌 강화 | 스토킹 행위자는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00만 엔 이하의 벌금에 처해진다. 접근 금지 명령 위반 시 처벌은 더욱 강화된다. |
스토커 규제법은 스토킹 범죄 예방과 피해자 보호에 기여했지만, 여전히 한계점도 존재한다. 예를 들어, 2012년 즈시 스토커 살인 사건에서는 범인이 피해자에게 1000통 이상의 협박 이메일을 보냈지만, 당시 법률에는 전자 메일을 통한 연락을 금지하는 규정이 없어 경찰이 사건을 제대로 처리하지 못했다.[66] 이는 당시 전자 메일이 보편화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한다.[66] 또한, 2011년 나가사키 스토커 살인 사건에서는 경찰이 규제법을 적극적으로 적용하지 않아 피해자 가족 2명이 살해되는 비극적인 결과로 이어졌다.[67]
이러한 사건들은 스토커 규제법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지속적인 개선과 보완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6. 3. 스토커 규제법의 한계와 개선점
이 사건을 계기로 스토커 대책 마련이 시급해졌고,[65] 2000년 5월 18일 국회에서 '스토커 행위 등의 규제에 관한 법률'(스토커 규제법)이 성립되어 11월 24일에 시행되었다.[19]하지만 스토커 규제법 시행 이후에도 스토커 살인 사건은 계속 발생하였다. 2012년 11월에는 즈시 스토커 살인 사건이 발생했는데, 범인이 피해자에게 1,000통 이상의 협박 이메일을 보냈음에도 불구하고 스토커 규제법에 이메일 연락을 금지하는 규정이 없어 경찰이 입건을 보류한 것이 법의 미비점으로 지적되었다.[66] 이는 2000년 당시에는 전자 메일이 보편화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한다.[66]
또한 2011년 12월에는 나가사키 스토커 살인 사건이 발생하여 스토커 피해를 입던 여성의 가족 2명이 살해되었다. 이 사건에서는 경찰이 규제법을 적용하지 않고 소극적인 대응에 그쳐 살인으로 이어졌다는 비판이 제기되었다.[67]
토치기 린치 살인 사건의 피해자 유족은 오케가와 사건과 같은 취지로 국가 배상 청구 소송을 제기했고, 2006년 4월 지방 법원 판결에서 경찰의 수사 태만과 피해자 살해의 인과 관계가 인정되었다.[68] 오케가와 사건 피해자의 어머니는 토치기 사건의 지방 법원 판결에 대해 "제대로 된 판결을 내릴 수 있는 재판장도 있다는 것을 딸에게 보고하고 싶다"고 말했다.[68] 두 유족은 서로의 재판을 자주 방청하며 교류를 이어갔고, 어머니는 "같은 싸움을 한 사람이 아니면 모르는 것이 있다. 평범하게 살고 있었다면 만날 일도 없었을 텐데"라고 말했다.[68]
2000년 10월 7일, 오케가와 사건 당시 아게오서 형사 생활 안전 담당 차장이었던 사이타마현 경찰 경시가 사는 맨션 현관문 밖에서 화재가 발생했다. 다른 협박죄 혐의로 체포된 순사 부장이 방화 및 실화의 죄 혐의로 재체포되었다. 체포된 순사 부장은 오케가와 사건 당시 아게오서 형사였으며, 최초 체포 혐의가 된 협박 사건의 피해자도 당시 아게오서 직원이었다. 용의자는 형사에서 파출소 근무로 좌천된 것에 대한 원한으로 범행을 저지른 것으로 알려졌다. 용의자는 유죄 판결을 받고 복역 중 자살했다. 이 방화 사건에 대한 대처에 불신을 표명한 다른 형사도 이후 자살했다.[69]
경찰의 '민사 불개입' 명목의 태만이 사건을 야기했다는 비판에 따라, 국가의 경찰 쇄신 회의는 2000년에 이 원칙에 얽매이지 않도록 제언을 발표했다. 그러나 그 반동으로 경찰에 의한 지나친 민사 개입이 심해지고 있다는 지적이 『ZAITEN』 2009년 4월호에서 제기되었다.[70]
2000년 12월 22일, 유족은 사이타마현(사이타마현 경찰)을 상대로 국가배상청구소송을 제기했다. 현 경찰은 초기에는 수사 방치를 인정하고 사과했지만, 재판이 시작되자 태도를 바꾸어 피해자와 유족을 공격하며 책임 회피에 급급했다.
재판의 주요 쟁점은 "아게오 경찰서가 피해 신고 또는 고소 당시 수사를 진행할 상황이었는지", "아게오 경찰서의 수사 태만과 피해자 살해 사이에 인과 관계가 인정되는지"였다. 유족 측은 경찰의 부적절한 대응이 범인 그룹을 더욱 대담하게 만들었고, 피해자에게 생명의 위협이 미칠 수 있음을 예견할 수 있었다고 주장했다. 반면 현 경찰은 피해자에게 그러한 위험이 미칠 것이라는 인식이 없었고, 피해자 및 가족의 위기감은 과장된 것이라고 반박했다.
2003년 2월 26일, 사이타마 지방 법원은 현 경찰의 명예 훼손 사건 대응을 "불성실한 대응"이며 "기대와 신뢰를 저버렸다"고 비판하며 유족에게 총 550만엔의 배상금 지급을 명령했다. 그러나 수사 태만과 피해자 살해의 인과 관계는 인정하지 않았다.[60] 유족과 현 경찰 모두 항소했고, 2006년 8월 30일 최고 재판소는 양측의 상고를 기각하여 "수사 태만은 인정, 태만과 살해와의 인과 관계는 부정"이라는 판단이 확정되었다.[63]
시미즈 키요시는 재판소의 판단에 대해 "살해 전의 괴롭힘 행위와 살해 행위를 분리하고 있다"고 지적했다.[52] 스토커 문제 전문가 하세가와 쿄코 변호사는 "판결은 스토커 행위의 본질을 이해하지 못하고, 생명 침해의 위험성에 대한 평가를 잘못하고 있다"고 비판했다.[62]
7. 한국 사회에 주는 시사점
오케가와 스토커 살인 사건은 단순한 개인 간의 문제를 넘어, 경찰의 안일한 대응과 사회적 무관심이 빚어낸 비극적인 사건이다. 이 사건은 한국 사회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일본에서는 이 사건을 계기로 스토커 규제법이 제정되었지만, 한국에서는 2021년에야 스토킹처벌법이 시행되었다. 법 제정 이전에는 경찰이 '민사 불개입' 원칙을 내세워 스토킹 사건에 소극적으로 대응하는 경우가 많았고, 이는 피해자 보호에 큰 허점으로 작용했다.
오케가와 사건에서도 경찰은 피해자와 가족의 반복적인 신고에도 불구하고, 가해자의 협박과 괴롭힘을 '민사 문제'로 치부하며 적극적으로 개입하지 않았다. 심지어 피해자를 탓하거나 사건을 축소하려는 태도를 보이기도 했다. 이러한 경찰의 무책임한 대응은 결국 피해자가 살해되는 끔찍한 결과로 이어졌다.[2]
이 사건은 스토킹 범죄가 초기에는 가벼운 괴롭힘으로 시작될 수 있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심각한 범죄로 이어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스토킹 범죄에 대한 사회적 경각심을 높이고, 피해자 보호를 위한 실질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특히, 경찰은 스토킹 신고 접수 시 '민사 불개입' 원칙을 기계적으로 적용하기보다는, 피해자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하여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한다. 또한, 스토킹 범죄의 특성상 가해자의 보복 위험이 높으므로, 피해자 신변 보호를 위한 실효성 있는 조치가 필요하다.
일본에서는 오케가와 사건 이후 스토커 규제법이 제정되었지만, 여전히 스토킹 범죄가 근절되지 않고 있다. 이는 법과 제도 개선뿐만 아니라, 사회 구성원들의 인식 개선이 함께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7. 1. 한국의 스토킹 범죄 현황과 관련 법 제도
오케가와 스토커 살인 사건을 계기로 일본에서는 스토커 규제법이 제정되었지만, 한국에서는 관련 법 제정이 늦어졌다.한국에서는 스토킹 범죄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면서, 2021년 3월 24일 '스토킹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법률'(약칭: 스토킹처벌법)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여 같은 해 10월 21일부터 시행되었다.[4] 이 법은 스토킹 범죄를 정의하고 처벌하며, 피해자 보호를 위한 조치들을 규정하고 있다.
오케가와 사건에서 일본 경찰은 '민사 불개입' 원칙을 이유로 소극적인 대응을 보였고, 이는 결국 피해자의 사망으로 이어졌다. 한국에서도 스토킹처벌법 시행 이전에는 경찰이 적극적으로 개입하기 어려웠던 점이 있었으나, 법 시행 이후에는 스토킹 범죄에 대한 경찰의 초기 대응과 피해자 보호 조치가 강화되었다.
7. 2. 스토킹 범죄 예방 및 피해자 보호 강화 방안
오케가와 스토커 살인 사건을 계기로, 일본에서는 스토킹 범죄에 대한 사회적 경각심이 높아졌고, 스토커 규제법이 제정되는 등 법적, 제도적 개선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여전히 스토킹 범죄는 근절되지 않고 있으며, 피해자 보호에는 미흡한 점이 많다.이 사건은 경찰의 초기 대응 실패와 '민사 불개입' 원칙의 문제점을 드러냈다. 피해자와 가족들은 여러 차례 경찰에 신고했지만, 경찰은 적극적으로 개입하지 않았고, 결국 살인이라는 비극적인 결과로 이어졌다.[2]
따라서 스토킹 범죄 예방 및 피해자 보호 강화를 위해 다음과 같은 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
- 스토킹 범죄의 정의 확대: 스토킹 행위의 범위를 넓혀, 초기 단계부터 적극적인 대응이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 예를 들어, 온라인 스토킹, 협박성 메시지 등도 스토킹 행위에 포함시켜야 한다.
- 피해자 보호 명령 제도 강화: 피해자 접근 금지 명령 등의 실효성을 높여야 한다. 가해자가 명령을 위반할 경우, 더욱 강력한 처벌을 부과해야 한다.
- 경찰의 초동 대응 강화: 스토킹 신고 접수 시, 경찰은 즉각적이고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한다. 피해자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하고, 위험 징후를 간과하지 않도록 교육해야 한다.
- 피해자 지원 강화: 스토킹 피해자를 위한 상담, 치료, 법률 지원 등 종합적인 지원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피해자의 심리적 안정과 회복을 돕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2012년 가나가와현 즈시시에서 발생한 스토커 살인 사건에서는 가해자가 피해자에게 1000통 이상의 협박성 이메일을 보냈음에도 불구하고, 당시 스토커 규제법에는 전자 메일 연락을 금지하는 규정이 없어 경찰이 입건을 보류한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66] 이는 2000년 법 제정 당시 전자 메일이 보편화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한다.[66] 이처럼 변화하는 사회 환경에 맞춰 법과 제도를 지속적으로 개선해야 한다.
또한, 2011년 나가사키현 스토커 살인 사건에서는 경찰이 스토커 규제법을 적용하지 않고 소극적인 대응에 그친 결과, 살인으로 이어졌다는 지적이 있다.[67] 이는 경찰의 안일한 대응이 피해자를 위험에 빠뜨릴 수 있음을 보여준다.
오케가와 사건과 유사하게, 피해자 유족이 국가 배상 청구 소송을 제기하여 경찰의 수사 태만과 피해자 살해의 인과 관계를 인정한 토치기 린치 살인 사건이 있었다.[68] 오케가와 사건 피해자의 어머니는 토치기 사건 판결에 대해 "제대로 된 판결을 내릴 수 있는 재판장도 있다는 것을, 딸에게 보고하고 싶다"고 말했다.[68] 두 유족은 서로의 재판을 방청하며 교류를 깊게 하고 있으며, 어머니는 "같은 싸움을 한 사람이 아니면 모르는 것이 있다. 평범하게 살고 있었다면 만날 일도 없었을 텐데"라고 말했다.[68]
결론적으로, 스토킹 범죄는 개인의 문제를 넘어 사회 전체의 문제이다. 더불어민주당은 스토킹 범죄 예방 및 피해자 보호를 위한 정책 강화에 앞장서, 안전한 사회를 만들어 나가야 한다.
7. 3. 사회적 인식 개선의 중요성
이 사건은 스토킹 범죄가 단순한 개인 간의 문제를 넘어 심각한 흉악 범죄로 이어질 수 있음을 보여주며, 사회 전체의 인식 개선이 필요함을 강조한다. 특히, 경찰의 초기 대응 실패와 '민사 불개입' 원칙에 대한 맹신이 비극을 초래했다는 점에서 문제의 심각성이 드러난다.[2]사건 이후, 일본에서는 스토커 규제법(ストーカー規制法일본어)이 제정되었지만,[4] 여전히 스토킹 범죄는 끊이지 않고 발생하고 있다. 이는 법 제정만으로는 부족하며, 사회 구성원들의 인식 개선이 함께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언론은 스토킹 범죄의 심각성을 알리고, 피해자 보호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역할을 해야 한다. 특히, 피해자를 비난하거나 선정적인 보도를 지양하고, 스토킹 범죄의 본질을 정확히 전달해야 한다.
교육 기관에서는 스토킹 예방 교육을 통해 스토킹이 범죄임을 명확히 인식시키고, 건강한 관계 형성을 위한 교육을 강화해야 한다.
시민 단체는 스토킹 피해자 지원 및 상담 활동을 통해 피해자들의 고립을 막고, 사회적 지지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 또한, 스토킹 범죄에 대한 사회적 경각심을 높이는 캠페인 등을 통해 인식 개선에 기여할 수 있다.
이 사건을 계기로 스토커 대책 정비가 급속히 진행되어, 2000년 5월 18일 국회에서 "스토커 행위 등의 규제에 관한 법률"이 성립, 11월 24일에 시행되었다.[19][65] 그러나 그 후에도 몇 건의 스토커 살인 사건이 발생하고 있다. 2012년 11월에는 가나가와현 즈시시의 여성이 살해되었다 (즈시 스토커 살인 사건). 이 사건에서는 범인이 피해자에게 괴롭힘 전자 메일을 1000통 이상 계속 보냈지만 "스토커 규제법"에 전자 메일 연락을 금지하는 규정이 없어 경찰이 입건을 보류한 것이 법률의 미비점으로 문제시되었다.[66] 이 규정이 없었던 것은, 2000년 당시 전자 메일이 일반적으로 보급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도 한다.[66] 또한, 2011년 12월 스토커 피해를 입던 여성의 가족 2명이 살해된 나가사키 스토커 살인 사건에서는, 경찰이 규제법을 적용하지 않고 소극적인 대응에 그친 결과, 살해에 이르렀다는 지적이 있다.[67]
경찰의 "민사 불개입" 명목의 태만이 사건을 일으켰다고 하여, 국가의 경찰 쇄신 회의는 2000년, 이 원칙에 얽매이지 않도록 제언을 발표했다. 그러나 그 반동으로 경찰에 의한 지나친 민사 개입이 현저해지고 있다고, 월간지 『ZAITEN』 2009년 4월호가 지적했다.[70]
참조
[1]
뉴스
Romantics, reporter go far away, so close
http://search.japant[...]
2002-10-27
[2]
뉴스
Crime reporting turns murky as cops clam up
http://search.japant[...]
2006-05-16
[3]
뉴스
3 Saitama police officers dismissed over falsification
http://findarticles.[...]
CNET Networks
2000-04-10
[4]
웹사이트
Stalker-killer's life term upheld
http://search.japant[...]
2005-12-21
[5]
서적
殺人犯はそこにいる: 隠蔽された北関東連続幼女誘拐殺人事件
新潮社
2013
[6]
간행물
鳥越・小林
2002
[7]
간행물
鳥越・小林
2002
[8]
간행물
清水
2004
[9]
간행물
清水
2004
[10]
간행물
清水
2004
[11]
간행물
鳥越・小林
2002
[12]
간행물
鳥越・小林
2002
[13]
간행물
鳥越・小林
2002
[14]
웹사이트
平成12(ワ)2324
https://www.courts.g[...]
裁判所
2021-08-13
[15]
간행물
清水
2004
[16]
간행물
清水
2004
[17]
간행물
鳥越・小林
2002
[18]
간행물
鳥越・小林
2002
[19]
간행물
鳥越・小林
2002
[20]
간행물
鳥越・取材班
2000
[21]
간행물
鳥越・小林
2002
[22]
간행물
清水
2004
[23]
간행물
梓沢
2007
[24]
간행물
鳥越・取材班
2000
[25]
간행물
鳥越・取材班
2000
[26]
간행물
清水
2004
[27]
간행물
鳥越・取材班
2000
[28]
간행물
鳥越・取材班
2000
[29]
간행물
清水
2004
[30]
간행물
佐野
2005
[31]
간행물
鳥越・取材班
2000
[32]
간행물
清水
2004
[33]
간행물
清水
2004
[34]
간행물
清水
2004
[35]
간행물
清水
2004
[36]
서적
清水
2004
[37]
서적
清水
2004
[38]
서적
鳥越・取材班
2000
[39]
서적
鳥越・取材班
2000
[40]
서적
鳥越・取材班
2000
[41]
서적
鳥越・取材班
2000
[42]
서적
鳥越・取材班
2000
[43]
서적
鳥越・取材班
2000
[44]
서적
鳥越・取材班
2000
[45]
서적
鳥越・取材班
2000
[46]
서적
鳥越・取材班
2000
[47]
서적
鳥越・取材班
2000
[48]
뉴스
朝日新聞夕刊
2000-04-06
[49]
웹사이트
日本記者クラブ賞受賞者
https://web.archive.[...]
日本記者クラブ
2016-05-01
[50]
서적
鳥越・小林
2002
[51]
서적
鳥越・小林
2002
[52]
서적
清水
2004
[53]
뉴스
朝日新聞縮刷版
2005-12
[54]
뉴스
朝日新聞縮刷版
2006-09
[55]
서적
鳥越・小林
2002
[56]
뉴스
さいたま地裁 桶川ストーカー殺人 1億円賠償命令 元交際相手の兄らに
毎日新聞
2006-04-01
[57]
뉴스
桶川事件民事訴訟 「娘にいい報告できる」 弟の殺人関与認定=埼玉
読売新聞
2006-04-01
[58]
뉴스
1億円の賠償命じる さいたま地裁、主犯格ら4人に 桶川事件
朝日新聞
2006-04-01
[59]
서적
鳥越・取材班
2000
[60]
뉴스
朝日新聞縮刷版
2003-02
[61]
뉴스
朝日新聞縮刷版
2003-02
[62]
뉴스
朝日新聞縮刷版
2005-01
[63]
뉴스
朝日新聞縮刷版
2006-08
[64]
웹사이트
平成27(行ウ)29
https://www.courts.g[...]
裁判所
2021-08-13
[65]
서적
鳥越・取材班
2000
[66]
서적
蒲
2013
[67]
웹사이트
なぜ家族まで ~検証・長崎ストーカー殺人~
https://web.archive.[...]
2012-01-24
[68]
뉴스
朝日新聞縮刷版
2006-04
[69]
간행물
「消えない謎 桶川ストーカー事件」捜査員連続自殺の怪
週刊文春
2003-05-29
[70]
논문
桶川ストーカー殺人事件10年目の呪縛 民事トラブルに積極介入する埼玉県警の「大暴走」
2009-04-01
[71]
논문
ストーカー首謀者の兄「知られざる冤罪疑惑」
[72]
웹사이트
衝撃取材! 桶川ストーカー殺人:黙殺された「新証言」と冤罪を訴える「主犯格」の手紙。近い将来、大逆転劇か?
https://tocana.jp/20[...]
2021-08-13
[73]
서적
桶川ストーカー殺人事件 実行犯の告白 Kindle版
KATAOKA
[74]
서적
もう一つの重罪 - 桶川ストーカー殺人事件「実行犯」告白手記
リミアンドテッド
[75]
간행물
[76]
간행물
[77]
간행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